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조선 후기 중국풍 건축들

ㅇ_ㅇ)b ㅇ_ㅇ)b
241 0 0
https://mbong.kr/issue/1720424 복사

조선 후기 실학과 북학론이 대두되면서 조선시대 건축에 중국풍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당시 선진 건축 기술을 받아들인 것이지 중국을 맹목하게 따른것이 아니다(유홍준 참고) 라고 한다.

1. 경복궁 집옥재

조선 후기 중국풍 건축들 | mbong.kr 엠봉

고종이 창덕궁에서 옮겨온 건물


고종이 개화 후 청나라에서 들여온 책을 보관하는 사고로 쓰임

좌-우를 벽돌로 마감한것, 중국식 가구식 기단의 사용, 중국식 취두(용두)가 특징

2. 동관왕묘

조선 후기 중국풍 건축들 | mbong.kr 엠봉

이건 좀 다른 케이슨데 이건 중국풍이 맞음

17세기 임란 이후 나라에서 관우 신앙을 장려하였고 그 일환으로 임란때 불탔던 관왕묘를 재건한 것

이후 일제강점기에 북관왕묘와 남관왕묘를 훼철하고 그 부속 문화재를 전부 여기로 옮겼음

특이한 지붕 구조, 벽돌과 기둥이 중국 사극에 나올법한 도교 사원을 연상케 함.

3. 석파정

조선 후기 중국풍 건축들 | mbong.kr 엠봉

석파정(별장)의 석파정(정자)

석파정(별장)은 원래 철종대의 영의정인 김흥근의 별서였는데, 들어봤겠지만 그 경치를 부러워했던 흥선대원군이 고종을 거기서 하룻밤 재우고 왕이 잔곳은 왕실것이라는 규정으로 낼름 강탈해옴

석파정(정자)에 대해서는 알려진게 많이 없으나, 처마나 부연조차 간략화되었음에 중국풍을 확실히 체감할수 있음.

오류있으면 적극 피드백 바람 데헷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