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올라갈 수 있는 목탑이 황룡사 9층 목탑뿐이라고?

ㅇ_ㅇ)b ㅇ_ㅇ)b
184 0 0
https://mbong.kr/issue/1965032 복사

우리가 황룡사 9층 목탑을 그리워(?)하는 이유는 이 목탑이 225척 즉, 고구려척 기준으론 약 81m, 당척 기준으론 약 68m에 달하는 웅장한 높이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 목탑이 올라갈 수 있는 목탑이기 때문이다. 현대 건축물 기준으로도 상당히 높은 높이인 68~81m의 높이에서 내려다보는 신라 서라벌의 모습이 어땠을까하는 상상을 하게끔 하는 것.


올라갈 수 있는 목탑이 황룡사 9층 목탑뿐이라고? | mbong.kr 엠봉 올라갈 수 있는 목탑이 황룡사 9층 목탑뿐이라고? | mbong.kr 엠봉

- 백제 미륵사 목탑의 원형을 상상해볼 만한 호류지 목탑. 미륵사의 절반 정도 높이일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어디까지나 예상일 뿐이다.

올라갈 수 있는 목탑이 황룡사 9층 목탑뿐이라고? | mbong.kr 엠봉

- 요새 자주 첨부하게 되는 불궁사 응현목탑. 청암리에 있었던 고구려 목탑도 팔각목탑이었다. 그래서 청암리 목탑의 복원 모형이나 CG 등을 만들 때는 대체로 이 목탑을 참고한다.

다만 청암리에 있던 목탑이나 미륵사의 목탑이 대단히 높았던 것은 확실하지만 황룡사 9층 목탑처럼 층을 타고 올라갈 수 있는 목탑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기록도 없고 유물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일하게 올라갈 수 있었다고 추정되는 거대 목탑이 고려시대에 존재했으니 바로 광통보제사 5층 목탑이다.

광통보제사는 개경의 랜드마크나 다름이 없었고, 왕건이 개경에 만들었던 10개(네?)의 사찰 중 하나였고, 송나라 사신 서긍도 이곳을 보고 감탄하기도 했다. 특히 서긍이 주목했던 건물은 고려궁궐보다 더 거대했던(네?) 나한보전과 200척(약 60m)이 넘는 5층 목탑이었다.

이 5층 목탑의 내부가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는 주장은 다음 기록에서 비롯된다.

"십천교를 지나 곧바로 가서 연복사(광통보제사)에 이르렀다. 한 중앙에 우뚝 솟은 5층 누각이 온 성중을 압도하고 서 있는데 창문과 기왓장에 저녁놀이 비친다. 참으로 웅장한 건물이다."

조선 전기의 문인인 유호인이 남긴 글이다. 유호인은 5층 목탑을 탑으로 보지 않고 누각으로 보고 있었다. 올라가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루(樓)였던 것이다.

흥미로웠다면 추천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