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포린 폴리시: 탈원전은 대만의 반도체 안보를 크게 악화시켰음

ㅇ_ㅇ)b ㅇ_ㅇ)b
135 0 0
https://mbong.kr/issue/1970713 복사
포린 폴리시: 탈원전은 대만의 반도체 안보를 크게 악화시켰음 | mbong.kr 엠봉

대만의 주요 석탄 및 LNG 공급 국가 분석을 통해 추가적인 취약점이 드러났습니다. 일단 공급 국가 대부분은 2021년 대만 석탄 수입의 55%, 천연가스 수입의 32%를 제공한 호주를 포함해 대만에 대한 반중 우호 국가입니다. 미국은 2021년 대만 LNG 공급의 9%를 제공했으며, 앞으로 더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양국은 에너지 측면에서 대만을 지원하는 데 제약이 있습니다. 미국에서 출발한 LNG 수송선이 대만에 도착하는 데 최소 30일이 소요되고, 호주는 이미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중국으로의 석탄 수출을 중단한 상태입니다.

또한 대만의 일부 에너지 공급 국가들은 미국과 호주만큼 전략적으로 대만과 연계되어 있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해 온 러시아는 2021년 석탄 수입의 15%, 천연가스 수입의 10%를 차지할 만큼 대만의 중요한 에너지 공급 국가입니다. 우크라이나와 유럽 전역에서 에너지를 정치적 무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중국이 대만의 에너지 공급을 조작할 경우 중국과 협력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중국은 대만보다 러시아의 에너지 공급에 있어 훨씬 더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우크라이나의 전면적인 침공 이후 러시아 에너지 경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렇다면 러시아가 대만에 대한 압력 전술로 대만으로의 에너지 수출 중 일부를 중국으로 전환하는 데 중국과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은 결코 가능성이 적지 않습니다.

아마도 더 현실적으로, 중국은 법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환경"을 근거로 대만의 에너지 수입을 규제하고, 해당 선적이 전면적인 교체나 전환을 수행하는 대신 일정 기간 동안 검사를 위해 먼저 중국 항구를 통과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미국이나 호주와 달리 러시아는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에 반대할 가능성이 훨씬 적으며 잠재적으로 중국에 경제적, 외교적 측면에서 추가적인 형태의 지렛대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대만은 한때 6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했지만 현재 2기만 가동 중이다. 40년의 운전기간이 만료된 진산 1·2호기는 각각 2018년과 2019년 폐쇄됐다. 정.부 정책에 따라 계속운전 신청을 하지 못했다. 탈원전 정책에 계속운전 신청을 못해 지난 4월 가동이 중단된 우리나라의 고리 2호기와 비슷하다.

--------------------------------------------------------------------------------------------------------------------------------------------------------

얘네도 보면 전 세계에서 지정학적으로 가장 위험한 국가인데도 국가안보전략에 대해서 좆도 개념이 없는 것 같음. 전기를 퍼먹는 반도체 산업에 몰빵한 국가가 답도 없는 탈원전 신재생 에너지에 정신 팔린 것도 그런데, 특히 대만의 에너지 비축분이 고작 한 달 정도밖에 안된다는 사실도 경악 그 자체임. 또한 에너지 공급 국가 상당수가 사실상 중국과 가까운 국가들임. 중국 해군이 대만 섬을 봉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데도 아직도 에너지 안보에 별 대책이 없음. 이대로 가면 중국이 딱 한 달만 대만 섬을 봉쇄해도 대만의 에너지 수급과 전 세계 반도체 공급망은 전부 붕괴하게 됨. 미국이 대만 하는 꼬라지를 보면 ㄹㅇ 뒷목을 잡을 수밖에 없음.

ㅊㅊ 갤갤 뿌잉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