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조선의 대군으로 태어나, 대군으로 천수를 다하고 죽은 인물들은 누가 있을까?

ㅇ_ㅇ)b ㅇ_ㅇ)b
199 0 0
https://mbong.kr/issue/1689599 복사
조선의 대군으로 태어나, 대군으로 천수를 다하고 죽은 인물들은 누가 있을까? | mbong.kr 엠봉

대군 : 왕비에게서 태어난 왕의 (세자가 아닌)나머지 적자.


조건은

1. 태어날 때부터 왕의 적자로 태어나, (왕위에는 오르지 못하고)끝까지 대군으로 살다 사망.

2. 평균수명이상까지 살다가 자연사.

*조선왕자들의 평균수명은 37.6세. 요절하거나 20대 미만에 죽은 왕자들을 제외하면 44.3세.

을 충족하는 인물들.

세자를 제외한 적자를 본 국왕들만 적겠음.

초대 태조

적자 8명이 있었으나, 모두 조선 건국전에 태어났기에 출생시에는 고려 장수의 아들들이었을 뿐이었다.

해당사항 X

3대 태종

원경왕후와의 사이에서 대군군호를 받은 아들은 4명. 그러나 3남 충녕대군까지는 일개 왕자(정안군 시절)의 아들로 출생.

해당사항 X

4대 세종

소헌왕후와의 사이에서 8명의 적자를 출산.

세종의 즉위 전 태어난 1남 문종, 2남 세조는 왕이 되고

세종의 즉위이후 태어난 3남 안평대군, 6남 금성대군은 친형(세조)에게 죽임을 당함.

5남 광평대군, 7남 평원대군은 세종 본인 보다도 요절.

4남 임영대군, 8남 영응대군은 왕자로 태어나 왕자로 살다 자연사했으나, 영응대군은 33세로 이른 사망.

7대 세조

2명의 적자를 보았으나, 의경세자와 해양대군(훗날의 예종) 모두 태어날 때는 일개왕자(수양대군)의 아들로 태어남.

세조의 즉위 이후 둘째가 해양대군으로 봉해졌으나, 훗날 왕으로 즉위함.

해당사항 X

8대 예종

해당사항 X

9대 성종

2명의 적자가 모두 왕위에 오름.

해당사항 X

10대 연산

연산군 폐위 이후 모든 아들들이 어린 나이에 죽임을 당함.

해당사항 X

11대 중종

2명의 적자가 모두 왕위에 오름.

해당사항 X

14대 선조

유일한 적자 영창대군은 이복형 광해군의 즉위 이후 어린 나이에 죽임을 당함.

해당사항 X

16대 인조

4명의 적자를 두었으나, 1남은 세자로 있다가 요절, 2남(봉림대군)은 왕이 됨. 3남과 4남은 요절.

해당사항 X

인조의 적4남 용성대군을 마지막으로 27대 순종까지 조선에선 더 이상 대군이 태어나지 않음.

518년의 조선사에서,

1. 태어날 때부터 왕자(대군)로 태어나,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끝까지 대군으로 살다 사망.

2. 평균수명이상까지 평온하게 살다가 자연사.

세종의 즉위후 왕자로 태어나

49세까지 살며(세종의 적자 8명 중 40세를 넘긴 아들은 세조, 임영대군 뿐이다. 50세를 넘긴 인물은 51세로 사망한 세조가 유일)

조선왕실이 갈 수록 적자가 부족해져 그에 따른 폐단들도 나온 것을 보면, 확실히 왕족 생산도 왕의 주요 업무인 듯 하다...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