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설 선물 받은 사과, '이것'과 같이 보관하면 상한다

감자에흙맛 감자에흙맛
259 0 0
https://mbong.kr/issue/2049121 복사
설 선물 받은 사과, '이것'과 같이 보관하면 상한다 | mbong.kr 엠봉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이 없음/사진=게티이미지뱅크


[MBN]

사과와 배를 함께 보관하면 신선도가 떨어지고 일찍 상할 수 있습니다.

어제(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사과를 배 또는 오이, 양배추 등과 함께 두면 사과에서 나오는 에틸렌으로 신선함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에틸렌은 과일이나 채소가 익으면서 자연스럽게 생성돼 작물의 숙성과 노화를 촉진하는 호르몬입니다.

에틸렌은 수확 후에도 식물의 기공에서 가스로 배출됩니다.

기공은 식물 표피 조직의 일부가 외부 대기와 연결된 작은 구멍을 말합니다.

에틸렌은 농산물을 빠르고 균일하게 숙성시켜 줍니다.

에틸렌 생성량이 많은 과일로는 사과가 대표적입니다.

사과 외에도 복숭아, 자두, 살구, 아보카도, 토마토, 망고, 무화과, 바나나 등이 에틸렌 생성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확 후 에틸렌 생성이 많은 과일, 채소를 에틸렌에 민감한 과일 또는 채소와 같이 두면 성숙과 노화를 촉진해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에틸렌에 민감한 과일, 채소는 키위, 감, 배, 오이가 있습니다.

또한 에틸렌은 엽록소 분해 등으로 채소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에틸렌으로 인한 주요 손상은 브로콜리, 파슬리, 시금치는 누렇게 변색되는 황화가 올 수 있습니다.

아스파라거스는 조직이 질겨져 식감이 떨어지고, 양상추는 반점이 생깁니다.

당근은 쓴맛이 증가하고, 양파는 발아가 촉진되고 마르게 됩니다.

우선 사과, 복숭아 등 에틸렌 발생이 많은 과일은 다른 채소, 과일과 따로 보관하고 공기를 차단하는 식품용 랩 등으로 개별 포장해 둡니다.

또 상처를 입거나 병충해 걸린 과일은 스트레스로 에틸렌 발생이 증가하므로 보관 전 골라내는 것이 좋습니다.

한편 에틸렌으로 덜 익은 과일의 맛을 끌어올릴 수도 있습니다.

에틸렌이 많이 나오는 과일을 덜 익은 바나나, 떫은 감 등과 함께 보관하면 성숙을 촉진해 맛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장나영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angnayoungny@gmail.com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