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2차 고당전쟁] 4. 침공군의 진격

ㅇ_ㅇ)b ㅇ_ㅇ)b
94 0 0
https://mbong.kr/issue/2104613 복사
#1 #2 #3

원정군의 편성


당군의 규모

이와 관련하여, 당태종은 648년에 다음과 같은 발언을 한 적이 있다.

帝與長孫无忌計曰, “高麗困吾師之入, 戶亡耗, 田歲不收, 蓋蘇文築城增陴, 下飢臥死溝壑, 不勝敝矣. 明年以三十萬衆, 公爲大總管, 一擧可滅也.”

- 『신당서』 권220 동이 고려

[2차 고당전쟁] 4. 침공군의 진격 | mbong.kr 엠봉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62쪽. 참고용 지도이다.

진군로: 평양 공격군의 경우

반면에 누방도행군(정명진), 부여도행군(소사업), 장잠도행군(아사나충), 요동도행군(계필하력) 등은 요동 일대를 침공한 것은 분명하나 기록이 소략하여 상대적으로 규명이 복잡하다. 그러나 행군명 및 장수들의 과거 이력, 당시 참전한 인물들의 묘지명 등을 활용하면 전쟁의 양상을 일부 확인해 볼 수 있다.

진군로: 누방도행군의 경우

진군로: 부여도행군의 경우

진군로: 장잠도행군의 경우

진군로: 요동도행군의 경우

또한 계필하력이 직접 이끈 요동도행군 역시 선박을 보유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사료가 존재한다.

龍朔元年, 詔爲遼東道行軍大總管, 于時九月, 水陸兩軍, 大會平壤. 兵至鴨綠, 波濤浩瀚, 無舟可濟. 恐失王期, 仰天而囂, 具申忠志. 寒風四起, 流澌立合. 軍衆纔渡, 冰隨後銷, 高麗謂神.

- 「계필숭묘지명(契苾嵩墓誌銘)」

압록수 돌파: 전쟁 초기 당군의 승세

물론, 이후에 실제로 벌어진 일은 그와는 꽤 다른 것이었지만 말이다.

[4-1] 『三國史記』 卷6, 新羅本紀6, 文武王 원년 여름 6월, “元年, 六月, 入唐宿衞仁問・儒敦等至, 告王, “皇帝已遣, 蘇定方領水陸三十五道兵, 伐髙句麗, 遂命王舉兵相應. 雖在服, 重違皇帝勑命.”

[4-2] 『資治通鑑』 卷200, 唐紀16, 高宗 龍朔 원년 4월 癸巳.

[4-3]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09쪽.

[4-4] 김용만, 「2次 高句麗 - 唐 戰爭(661-662)의 進行 過程과 意義」, 『민족문화』 27, 2004, 178쪽;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38-140쪽.

[4-5] 「大唐平百濟國碑」, “使持節神丘嵎夷馬韓熊津等一十四道大總管左武衛大將軍上柱國邢國公蘇定方.”

[4-6] 『新唐書』 卷3, 高宗 龍朔 원년 10월, “鄭仁泰為鐵勒道行軍大總管蕭嗣業為仙㟧道行軍大總管, 左驍衞大將軍阿史那忠為長岑道行軍大總管, 以伐鐵勒.”

[4-7]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41쪽.

[4-8] 이민수, 「645년 唐의 高句麗 원정군 규모 推算」, 『한국상고사학보』 100, 2018, 144쪽.

[4-9]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41쪽.

[4-10] 김용만, 「2次 高句麗 - 唐 戰爭(661-662)의 進行 過程과 意義」, 『민족문화』 27, 2004, 177쪽.

[4-11]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44-145쪽.

[4-12]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64쪽.

[4-13] 「仵欽墓誌銘」, “龍朔元年, 浿江道敬奉天規, 承威問罪, 君沉戈畫鷁, 瞻獨鶩於星樓, 水劍浮龍競先 鳴於月峽.”

[4-14]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25쪽.

[4-15] 장창은,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 · 당의 전쟁」, 『신라사학보』 38, 2016, 85-86쪽.

[4-16] 장창은,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 · 당의 전쟁」, 『신라사학보』 38, 2016, 87쪽.

[4-17] 김용만, 「2次 高句麗 - 唐 戰爭(661-662)의 進行 過程과 意義」, 『민족문화』 27, 2004, 181쪽;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27쪽; 이민수, 「662년 고구려의 평양성 전투와 임진강 전투 재구성」, 『한국고대사탐구』 41, 2022, 101쪽.

[4-18]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57쪽.

[4-19]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17-218쪽.

[4-20] 「楊師善墓誌」, “龍朔元年, 問罪遼東, 鏤方道總管程名振奏公充行軍兵曹. 軍謀戰策, 多所決勝.”

[4-21]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19쪽.

[4-22] 『集神州三寶感通錄』 中, “五十唐龍朔中. 有事遼左行軍將薛仁貴. 行至隋主討遼古地. 乃見山像空曠蕭條絕於行往. 討問古老云. 是先代所現. 便圖寫傳本京師云云.”

[4-23]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16쪽.

[4-24]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57쪽.

[4-26] 『資治通鑑』 卷200 唐紀16 高宗 顯慶 6年(661) 正月 戊午 조.

[4-27]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56쪽.

[4-29] 김용만, 「2次 高句麗 - 唐 戰爭(661-662)의 進行 過程과 意義」, 『민족문화』 27, 2004, 187쪽.

[4-30] 이성제, 「7세기 東突厥系 蕃將과 蕃兵의 활동 : 麗唐戰爭 시기 활동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125, 2013, 202쪽.

[4-31] 『唐會要』 卷73 安北都護府.

[4-32]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56쪽.

[4-33] 서영교, 「唐高宗 百濟撤兵 勅書의 背景」, 『동국사학』 57, 2014, 333쪽.

[4-34]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56쪽.

[4-35]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45-146쪽.

[4-36] 김용만, 「2次 高句麗 - 唐 戰爭(661-662)의 進行 過程과 意義」, 『민족문화』 27, 2004, 189-190쪽.

[4-37] 우석훈, 「遼河 유역의 高句麗 千里長城」, 『군사』 92, 2014, 114쪽.

[4-38]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48쪽.

[4-39] 『資治通鑑』 卷200, 唐紀16, 高宗 龍朔 元年 9月, “高麗蓋蘇文遣其子男生以精兵數萬守鴨綠水, 諸軍不得渡.”

[4-40]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48쪽.

[4-41] 장창은,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 · 당의 전쟁」, 『신라사학보』 38, 2016, 88쪽.

[4-42] 서영교, 「당의 해양력과 고구려 - 당의 2차 침공(647년) 이후를 중심으로」, 『유라시아문화』 8, 2023, 316쪽.

[4-43] 이민수, 「660~661년 당의 고구려 공격군 편성과 水軍 운용 전략」, 『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151쪽.

[4-44]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22쪽.

[4-45] 『奉天通志』 卷163, 交通3 船路下, “每年冬季十二月至翌年三月凡四月爲凍氷時期, 船舶不能通行.”

[4-46] 『舊唐書』 卷109 契苾何力傳.

[4-47]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20쪽.

[4-48] 이민수, 「661년 고구려-당 전쟁의 전황」, 『군사』 122, 2022, 223쪽.

[4-49] 이강래, 「7세기 고구려 인식과 정통성의 문제」, 『역사학연구』 60, 2015, 31쪽.

[4-50] 방용철, 「연개소문의 후계구도 정립과 사망(死亡)」, 『대구사학』 131, 2018, 126쪽.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