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감자에흙맛 감자에흙맛
426 0 0
https://mbong.kr/issue/2212261 복사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1. 간의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천문 관측 기구

오늘날의 각도기와 비슷한 구조를 가졌으며, 혼천의를 간소화한 것이다.

1432년(세종 14년)에 이천과 장영실에게 목재로 간의를 만들게 하여

실험에 성공하자 이를 구리로 주조하게 하였다.

이는 천문 기구 정비 가운데 가장 뛰어난 업적 중 하나이다.

1438년(세종 20년)에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간의대를 세워 대간의를 설치하는 외에

휴대에 편리한 소간의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2. 혼천의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던 천문 관측기

간의 발명 1년 후인 1433년(세종 15년),

간의를 더욱 발전시킨 관측 기구인 혼천의를 만들어 냈다.

간의와 혼천의는 조선의 기본적인 천문 관측 기구이다.

중국에서 사용하던 혼천의는 천체 운행을 관측하는 것이 목적이었고,

장영실이 제작한 혼천의는 정교한 동력 장치를 이용해 천체의 운행을 재현하면서

그와 동시에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이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3. 자격루

수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물시계

세종의 명으로 제작한 물시계, 자격루는

중국과 아라비아의 물시계를 비교, 연구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형태의 물시계이며

1434년(세종 16년)에 만들어졌다.

시간에 따라 종과 징, 북이 저절로 울리게 만들었고,

인형이 시간을 알려주는 표를 들고 나타나게 되어있는

정교한 자동 시보 장치 물시계이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4. 갑인자

갑인년에 주자소에서 만든 동활자

1420년(세종 2년)에 만든 경자자의 자체가

가늘고 빽빽하여 보기가 어려워지자

조금 더 큰 활자가 필요하다 하여

1434년(세종 16년) 갑인년에 왕명으로 주조된 활자이다.

이천·김돈·김빈·장영실·이세형·정척·이순지 등이

두 달 동안에 20여 만의 큰 중자인 대자와 소자를 만들었다.

활자의 모양이 바르고 글자의 크기가 고르게 조립되었으며,

자판의 빈틈을 납을 사용하지 않고 대나무를 이용하였으므로

글자가 선명하고 아름답다.

하루에 활자를 찍어 내는 양이 40여 장에 달하여

경자자보다 배 이상의 생산력을 가질 수 있었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5. 앙부일구

세종 시기 가장 널리 보급된 해시계

1434년(세종 16년)에 만들어진 해시계인 앙부일구는

하늘을 바라보는 가마솥 해시계라는 뜻으로,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장영실, 이천, 김조 등이 만들었던 해시계로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하고 독특한 발명품이다.

햇빛에 의해 그림자가 생겼을 때 그림자의 위치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로써

수영면이 오목한 반구형이 특징이다.

그림자를 드리우게 하는 영침이 남쪽 밑에서 북극으로 솟아올라

중앙에 도달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시각은 12지신으로 표시하여 백성들이 쉽게 시간을 읽을 수 있었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6. 현주일구

휴대용 해시계

북쪽 기둥에서 아래로 매달린 구슬을 이용하여 해시계의 수평을 잡고,

남쪽의 둥근 못에 지남침을 이용해 기기의 남북 방향을 잡는다.

시반 양면에 시각 눈금을 새겨 놓고 시반에 맺힌 실 그림자로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반의 윗면은 봄에서 가을까지, 아랫면은 가을에서 다음 해 봄까지 사용하였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7. 천평일구

이 해시계는 1437년(세종 19년)에 처음 제작한 것으로 말 위에서 사용했다고 한다.

같은 시기에 제작한 현주일구와 크기와 사용법이 유사하다.

하지만 기둥이 중심에 있고, 둥근 못이 남쪽과 북쪽에 있다.

현주일구와는 현주 장치를 빼고 수평을 잡기 위한 원지를 하나 더 두었다는 점이 다르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8. 정남일구

지남침(나침반) 없이 남쪽을 맞히는 해시계

1437년(세종 19년)에 제작된 정남일구는

다른 해시계와 달리 지남침을 쓰지 않고도 남북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남쪽을 가리켜주는 해시계라는 뜻으로 정남일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받침대의 길이는 1척 2촌 5분이며, 받침대에는 수평을 잡기 위한 물 그릇이 장치되어 있다.

남북으로는 기둥이 세워져 그 사이에 눈금을 그려 넣은 사유환·지평환 등이 가설되었고,

눈으로 들여다볼 수 있도록 규형이 장치되었다.

크기로 보아 휴대용은 아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9. 규표

해 그림자 측정기

규표는 1437년(세종 19년)에 만들어졌으며,

해가 남중할 때 막대기의 그림자를 측정해 1년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관측 의기이다.

받침석 위에 돌로 만든 21.2척의 규를 설치하고, 8척 높이로 청동 재질의 표를 세웠다.

규에는 주척(1척 = 20.7cm) 단위로 장 · 척 · 촌 · 분을 새겨 해 그림자 길이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표의 상단에는 횡량을 설치해 두 마리의 용이 받들도록 하였다.

영부는 규 위에 비친 횡량의 그림자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기구이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10. 일성정시의

낮, 밤 시간 측정기

일성정시의는 해시계와 별시계의 기능을 하나로 고안한 천문 관측 기기이다.

해시계의 원리와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회전한다는 원리를 적용하여

낮과 밤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1437년(세종 19년)에 구리로 4개의 일성정시의를 제작하였다.

하나는 궁궐 안에 왕이 다니는 내정에 둔 것으로 구름과 용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나머지 셋 중에 하나는 서운관에 주어 시간 관측에 사용하게 하고

나머지 둘은 함길도와 평안도 두 도의 절제사 영에 나누어 주어

경비 임무와 경계 태세 강화라는 목적에 쓰게 했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11. 옥루

천상 자동 물시계

자격루가 완성된 지 4년 후,

1438년(세종 20년)에 장영실은 또 하나의 자동 물시계인 옥루를 완성하였고,

세종은 경복궁 침전 곁에 흠경각을 지어 그 안에 설치하도록 했다.

옥루는 지금 남아 있지 않아 아쉽게도 그 형태를 완벽히 알 수는 없고,

전해지는 기록으로 추측해 볼 뿐이었으나, 2019년에 복원되었다.

옥루는 자격루와 같은 물시계 장치 뿐만 아니라

태양의 운행 등 천체의 변화를 보여주는 장치까지 있는 천문 시계이다.

또한 동지, 춘분, 하지, 추분까지 알려주기도 했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12. 수표

하천 수위 측량 기구

강우량을 측정하는 데는 측우기를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하천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다.

비가 오면 하천의 수위가 올라가고,

가물면 하천의 수위가 내려간다는 자연 현상에 주목한 방법이다.

1441년(세종 23년)에 청계천과 한강에 수표를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받침돌과 나무 기둥은 쇠갈고리[鐵鉤]로 묶어 고정시키고,

나무 기둥에 척·촌·분의 수를 새겨 호조의 낭청으로 하여금

하천의 수위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였다.

조선 시대의 천재 과학자, '장영실'이 만들어낸 발명품들 | mbong.kr 엠봉

13. 측우기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쓰인 기구

1441년(세종 23년) 8월에 호조에서 측우기 설치를 건의하여

다음 해 5월에 측우에 관한 제도를 새로 제정하고 측우기를 만들었다.

금속제 원통형 그릇에 빗물을 받아

표준화된 눈금의 자로 그 깊이를 측정했으며,

같은 규격의 기구와 자를 각 도의 군현에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우량 관측 및 보고 체계를 갖추었다.

출처: 장영실 과학관

http://www.jyssm.co.kr/html/sub10.php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