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충무공탄신일) 명나라 장군들이 평가한 이순신

유나 유나
467 1 0
https://mbong.kr/issue2023/92914 복사




* 제독 진린

- 이때 제독(진린)은 그 소식(이순신의 전사)을 듣고 자기 몸을 세 번이나 배에 던지면서 말하기를,

“함께 일을 할 사람이 없게 되었다.”

하였고, 천병들 또한 고기를 물리치고 먹지 않았다.

(백사집)




* 제독 마귀

* 저도 들었는데 이순신이 아니었던들 중국 군대가 작은 승리를 얻는 것도 어려웠으리라고 하였습니다.국왕께서는 조선의 여러 장수 가운데 누가 양장이라고 생각하십니까?나는이순신ㆍ정기룡ㆍ한명련ㆍ권율 등이 제일이라고 여깁니다.저번에 군문에게 이 말을 하였더니 군문이 상품을 나누어 보내 그들의 마음을 격려했다고 합니다.”

(선조 31년 무술(1598) 8월 15일)


* 당치 않은 말씀입니다. 이순신이 혈전을 벌이다가 죽었는데, 저는 그를 직접 만나보지는 못하였으나 탄복할 만합니다.그의 자손에게 포상하여 그 충렬을 널리 알리는 것이 좋을 듯싶습니다.”

(선조 32년 기해(1599) 1월 9일)


* 제독이 묻기를,

“이순신은 어느 지방 사람입니까?”

하니, 상이 대답하기를,

“충청도 아산 사람입니다.”

하였다.제독은(이순신의 죽음이) 애석한 일이라고 하고는, 말하기를,

(선조 32년 기해(1599) 1월 9일)




* 제독 유정

감사합니다. 재차 나와서 아무 것도 이룬 것이 없습니다.이순신 같은 자들은 나라를 위하여 몸을 바쳤으니 참으로 애석한 일입니다.

(선조 32년 기해(1599) 1월 29일)

* 군문 형개


-귀방의 총병 이순신은 마음을 다해 적을 토벌하니 대단히 칭찬할 만합니다. 제가 이미 상으로 은(銀)을 보내어 크게 표창하였습니다.”

(선조 31년 무술(1598) 11월 3일)


- 이순신은 마음을 다해 왜적을 토벌하다가 끝내 전사하였으니,저는 너무도 애통하여 사람을 시켜 제사를 지내게 했습니다.국왕께서도 사람을 보내어 제사를 지내소서. 또 그 아들을 기용하는 것이 어떻습니까?순신과 같은 사람은 얻기가 쉽지 않은데 마침내 이렇게 되었으니 더욱 애통합니다.”

(선조 31년 무술(1598) 11월 26일)


- 형 군문이이순신의 죽음을 몹시 슬퍼하여 사람을 보내 제사를 지냈고, 우리 나라에서도 제사를 지내게 하려고 하니그 뜻이 매우 훌륭합니다.

(선조 31년 무술(1598) 11월 30일)




* 경리 양호

- 상(선조)이 말하기를,

통제사 이순신이 사소한 왜적을 잡은 것은 바로 그의 직분에 마땅한 일이며 큰 공이 있는 것도 아닌데,대인이 은단(銀段)으로 상주고 표창하여 가상히 여기시니과인은 마음이 불안합니다.

하니, 경리가 말하기를,

“이순신은 좋은 사람입니다. 다 흩어진 뒤에 전선을 수습하여 패배한 후에 큰 공을 세웠으니 매우 가상합니다.그 때문에 약간의 은단을 베풀어서 나의 기뻐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선조 30년 정유(1597) 10월 20일)




* 경리 접반사

- 이순신이 그처럼 힘을 다해 적을 죽이고 있어 내가 매우 가상히 여기고 좋아하고 있다.서둘러 권장하는 상을 내려 사기를 고무해야 할 것이다.’ 하고, 또 묻기를, ‘그대 나라에서는 적의 수급을 벤 자에게 무슨 상을 내리는가?’ 하였습니다. 신이 대답하기를, ‘공로가 많은 자에겐 벼슬을 상으로 내리고 혹은 면포를 상으로 내리기도 하며, 상으로 내릴 만한 물건이 없을 때는 혹 영직이나 면천 첩문을 주기도 한다.’하니, 경리가 분부하기를, ‘상주는 것을 빨리 더 올려 사람들의 마음을 진작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만일 그대 나라에서 줄 만한 물건이 없다면 내가 그것을 처리하고 싶다.’

(선조 31년 무술(1598) 4월 14일)




* 부총 이방춘

- 이순신은 충신입니다. 이러한 자가 십여 명만 있다면 왜적에 대해 무슨 걱정할 것이 있겠습니까.

(선조 32년 기해(1599) 1월 6일)

* 급사 거관란

- 죽은 이를 후대하여야 산 자가 충성을 다하는 법입니다.순신 같은 사람에 대해서는 자손을 등용하고 봄 가을로 치제하는 일은 제가 말씀드리지 않아도 필시 잘 거행하실 것입니다.

(선조 32년 기해(1599) 1월 21일)





명나라 장수들 : 우리도 이순신 있었으면 소원이 없겠다!


개드립 - 충무공 탄신일 기념) 명나라 장군들이 평가한 이순신 ( https://www.dogdrip.net/401131081 )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에디터 모드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