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이슈 필수의료 인력’ 부족한데…성형외과 의사, 10년간 2배 늘었다

마요네즈 마요네즈
145 0 0
https://mbong.kr/issue/2035951 복사
필수의료 인력’ 부족한데…성형외과 의사, 10년간 2배 늘었다 | mbong.kr 엠봉

국내 필수의료 분야가 붕괴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계속되는 가운데 최근 10년간 성형외과 의원 의사 수는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피부과 의원 의사도 1.4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의료계에서 기피 분야와 인기 분야의 인력 쏠림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28일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에 따르면 의원급 1차 의료기관에서 일하는 성형외과 의사는 2022년 1월 기준 1769명으로 2012년의 1003명보다 76.4% 늘어났다. 이들이 일하는 성형외과 의원도 같은 기간 835곳에서 1115곳으로 33.5% 늘었다.

성형외과와 함께 양대 인기 진료과목으로 손꼽히는 피부과 의원의 증가세도 뚜렷했다. 의원급 피부과 의사는 2012년 1435명에서 2022년 2003명으로 39.6% 늘었다. 같은 기간 피부과 의원 수도 1047곳에서 1387곳으로 32.5% 증가했다.

이들 두 과목의 인기는 레지던트(전공의) 모집에서도 드러났다. 지난해 12월 수련병원 140곳에서 진행한 2024년도 상반기 레지던트 1년 차 전기 모집 지원 결과 성형외과(165.8%)와 피부과(143.1%) 모두 100%를 훌쩍 뛰어넘는 지원율을 보였다.

성형외과와 피부과는 수익이 높으면서도 의료 분쟁 가능성이 작아 의대 졸업생들도 선호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복지부 주최로 열린 간담회에서도 의사들이 레지던트 수련을 하지 않고 바로 성형이나 피부과를 개원해도 돈을 많이 버는데, 한 번 그쪽으로 가면 필수 의료 분야로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때문에 의대 입학정원 증원을 추진하는 복지부도 응급의학과나 소아청소년과 같은 필수의료 과목으로 의사 인력을 끌어올 방안을 고심 중이다. 다만, 성형외과나 피부과 의원 증가는 인구 고령화와 함께 늘어나는 수요를 반영하는 만큼 정부가 강제로 막을 수 없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필수의료 분야에 의사들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의사 인력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