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
next
자유게시판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정보 강감찬이 맡았던 '예부시랑'은 현대로 치면 어떤 직책일까?

ㅇ_ㅇ)b ㅇ_ㅇ)b
368 0 0
https://mbong.kr/issue/1894596 복사

강감찬이 맡았던 '예부시랑'은 현대로 치면 어떤 직책일까? | mbong.kr 엠봉

요세 한창 고려거란전쟁 방영으로 이 시기에 대한 화제로 뜨겁습니다.

특히 강감찬에 대한 얘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

강감찬은 문과 장원급제를 제외하곤 60세가 될 동안 고려사 기록이 없다가

예부시랑이란 직책을 맡은걸로 처음 역사의 한 페이지에 등장합니다.

극 중에서 예부시랑 따위가 왜캐 나대냐고 마누라한테 갈굼 당하는 장면도 있었죠.

그렇다면 강감찬이 맡았던 이 예부시랑이란 직책이 구체적으로 현대로 치면 어떤 직책일까요?

우선, 일반적으로 역사에 좀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조선시대 판서가

중국이나 고려의 상서라는 명칭을 제후국이라 격하해서 판서라는 명칭을 사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고려시대 상서 = 조선시대 판서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동급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즉, 실질적으로 장관이라기 보단 실무를 총괄하는 차관에 더 가까운 직위였다고 보아야합니다.

고려시대는 정1품에는 상설직이 없었고 최고위직인 문하시중이 종 1품이었습니다.

그래서 같은 직책이라도 조선보다 반품계 정도 낮게 책정된 편이므로,

상서는 조선으로 치면 종2품 참판(=차관) 정도로 보는게 적당하겠죠.

강감찬이 맡았던 '예부시랑'은 현대로 치면 어떤 직책일까? | mbong.kr 엠봉

이 사진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발췌해온 고려시대 상서에 대한 설명입니다.

귀족정이었던 고려라는 국가의 특성상

상서는 고위귀족들의 전유물이었던 재신들의 통제를 받았습니다.

실질적으로 각부의 판사가 장관의 역할을 했다고 보시면됩니다.

강감찬이 맡았던 '예부시랑'은 현대로 치면 어떤 직책일까? | mbong.kr 엠봉

강감찬이 맡았던 예부시랑은 정4품의 관직이었습니다.

생각보다 품계가 꽤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누라가 구박할만 합니다.)

태조때는 차관급이었으나 성종,문종대에 정4품 벼슬로 정착되었다고 설명되있는데

차관급보다 더 격하됬다는 늬앙스로 해석해야할지 그것은 좀 애매한 감이 있습니다.

다만 상서가 실질적으로 조선시대 판서,지금의 장관급이라 보기에 다소 꿀리는 부분이 있다는 점과

시랑이 정4품에 불과한것을 미루어보면 차관보급(1급) 정도로 봐야 적당하지 않나 싶습니다.

신고스크랩


댓글 0

댓글 쓰기
로그인없이 누구나 좋아요,비추천,댓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0%
0%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첨부 0